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매향리 평화기념관에서 마주한 장면들, 그 안의 감정들 두번째 이야기 매향리 평화기념관에 남겨진 미군 막사, 그 안에서 마주한 풍경과 감정의 파편들. 유리창에 비친 반영, 붉은 벽돌의 패턴, 고요한 하늘을 배경으로 한 건물의 실루엣까지, 공간의 틈을 촬영한 세 장의 사진.매향리에 남겨진 시간의 조각들매향리 평화기념관을 찾은 날, 정식 오픈 전이라 이곳은 생각보다 한산했다, 차분한 분위기에 낯설 만큼 정적 흐르는 거 같았다. 이곳은 과거 미군이 주둔하던 훈련장이었다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만큼 차분했다. 하지만 곳곳에 남겨진 건물의 흔적들은 분명히, 그 시간의 무게를 말하고 있었다.막사의 유리창 앞에 섰을 때, 가장 먼저 내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유리창에 비친 또 다른 막사의 지붕이었다. 그 반영은 뚜렷하지도, 흐릿하지도 않은, 그러나 유리창의 농도 때문에 파란 하늘과 빨간 .. 2025. 5. 5.
건축 구조에서 마주한 반복의 아름다움, 공간을 감각으로 바라보다 건축 구조물의 반복된 패턴에서 발견한 아름다움. 정돈된 구조의 아름다움, 그리고 감각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공간의 사진 에세이입니다.건축 외관에서 마주친 반복의 조형미건물 앞을 지날 때면 나는 자연스럽게 고개를 들게 된다.특히 외벽이 어떤 모양이나 패턴을 만들어낼 때, 그 모양을 담기 위해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이 사진은 내가 지나던 어느 날, 건물의 외관이 만들어낸 반복적인 패턴에 매료되어 촬영한 것이다. 계단처럼 내려오는 외벽의 선은 규칙적이면서도 강한 시각적 리듬을 만든다. 처음엔 단순한 건축이라 여겼던 이 형태가, 빛의 방향과 하늘의 여백과 만나면서 독특한 형태로 다가왔다.빛과 그림자가 이 표면 위에서 만들어내는 명암의 변화는, 단지 구조적인 반복을 넘어 감성적인 울림을 준다. 마치 일상의 질서를.. 2025. 5. 4.
도시의 경계에서 마주한 빈티지한 색감의 벽 서울 재개발 지역 경계에서 마주한 노란 벽과 회색 배관, 그리고 언덕길을 내려오는 노인의 뒷모습. 색과 구조, 사람과 시간이 교차하는 도심 속 장면을 담은 감성 사진 이야기. 노란 벽은 언뜻 보기엔 따듯해 보인다. 하지만 회색의 벽면과 그 위에 얽힌 가스 배관, 그리고 아래 놓인 빨간색의 소화기가 있는 분위기는 오히려 묵직해 보였다. 이 장면은 서울의 오래된 주택가, 그중에서도 재개발이 시작되고 있는 동네의 경계의 지점에서 마주한 풍경이다. 사람들은 떠나고 주변의 집들은 하나둘 철거되고 있었다. 이 벽도 조만간 사라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스쳤다.벽 위에는 어색할 만큼 작은 창문 하나가 보였다. 실내에서는 채광도 통풍도 어려울 듯한 이 창문은, 이 벽이 단순한 외관이 아니라 실제로 누군가의 생활의 일부였음을.. 2025. 5. 2.
메타세쿼이아 퇴근길에서 찾은 위로, 집으로 가는 길의 빛 메타세쿼이아 퇴근길에서 찾은 위로, 집으로 가는 길의 빛해 질 녘 집으로 향하는 느낌의 감성으로 촬영한 일상 풍경, 일상의 틈에서 마주한 감성의 시간퇴근길, 그 하루의 마침표가 주는 감정매일 반복되는 퇴근길. 자동차 안에서 음악을 들으며 집으로 향하는 그 길에서, 나는 매번 같은 풍경이지만 다른 감정을 마주한다. 아무 말 없이 서 있는 메타세쿼이아 나무들 사이를 달리다 보면, 오늘 하루를 조용히 마무리하는 순간임을 느낀다.나에게 이 길은 단순한 길이 아니다. 하루의 끝에서 내가 가장 나다워질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다. 카메라를 꺼내 들게 되는 순간도 바로 이 시간이기 때문이다. 조용한 음악, 가로등과 어우러진 메타세쿼이아 나무들, 그리고 잠시 멈춘 발걸음. 사진 속에는 그런 작고 소중한 시간들이 고스란히.. 2025. 5. 1.
일상의 미니멀한 풍경, 카페에서 마주한 순간들 가까운 일상에서 마주한 미니멀한 풍경커피를 좋아하는 나는 오랜만에 친구와 옆 동네에 있는 카페를 찾았다. 목적은 분명 커피였지만, 카페에 들어서는 순간, 깔끔한 공간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다. 미니멀한 인테리어, 따스하게 들어오는 빛, 정돈된 색감이 커피를 마시기 전 카메라를 들게 했다.이 글은 특별한 장소가 아니더라도,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평범한 공간이 충분히 감성을 자극하는 장면이 될 수 있음을 느끼게 해 주었다. 이날 촬영한 사진으로 구도와 시선에 대해 적어볼까 한다.정적인 프레임 속 움직이는 빛 가장 먼저 셔터를 누르게 한 공간은 카페 한쪽, 우리가 앉은 테이블 까지 깊숙이 이어지는 복도였다. 복도 끝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흐르고 있었고, 이 빛은 벽면과 바닥 위에 따듯하게 내려앉.. 2025. 4. 30.
매향리에서 만난 빛과 형태의 이야기 매향리에서 만난 빛과 형태의 이야기매향리와 그 근처 어섬 비행장을 다녀온 날,친숙한 건축가 마리오 보타가 설계한 평화 기념관을 만날 수 있었다. 그때 담아두었던 사진 중, 아직 소개하지 않은 장면들이 떠올랐다.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공간의 감정과, 그날 마주했던 빛과 형태를 다시 꺼내고 싶은 것은 그만큼 그날의 기억이 강렬했기 때문이다.매향리 평화기념관, 하늘을 향해 뻗은 원형 주탑 첫 번째로 소개할 사진은 매향리 평화기념관의 상징인 주탑을 담은 사진이다.하늘로 뻗어 올라가는 원형 구조물이 파란 하늘과 맞닿아 있고,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구름이 인상적이었다.주탑의 형태는 단순하지만 강렬하게 다가왔다.건축물과 하늘의 비행운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뻗어가며 만들어내는 긴장감이 프레임에 담긴 듯하다. .. 2025. 4. 29.